목포의 五味

[서울신문] '게미가 있다'고 한다. 사전적 의미는 '씹을수록 고소한 맛을 뜻하는 전라도 사투리'다.

정확히 규정하기는 어려우나 '개펄의 영양 듬뿍 먹고 자란 갯것들의 깊고 감기는 맛'으로 이해하면 무리가 없겠다.

전남 목포는 게미의 집산지다. 주변 섬과 뭍을 연결하는 길목이기 때문이다.

요즘 표현을 빌리자면 '맛의 플랫폼'쯤 되겠다. 그중에서도 도드라진 맛을 다섯 가지로 나눴다.

이른바 '목포 오미'(五味)다. 민어, 갈치, 꽃게, 낙지, 홍어가 주인공이다.

먹는 데 계절을 따질까. 멀고 먼 목포까지 왔다면 응당 남도 맛의 정수를 맛보는 게 순리다.

 

오전 5시, 목포항 수협 위판장. 경매가 한창이다. 중매인 간 눈치 싸움도 최고조에 달했다.

한 푼이라도 더 싸게 해산물을 사기 위해서다. 매물은 갈치와 조기가 대부분이다.

홍어와 병어, 돌돔 등 얼굴 보기가 쉽지 않은 녀석들도 종종 눈에 띈다. 목포의 싱싱한 아침은 이곳부터 열린다.


갈치 얘기부터 하자. 한때 국민 생선이었다가 이젠 귀족 생선이 된 녀석. 목포의 별미는 흔히 먹갈치라 불린다.

제주의 은갈치와 비교되는 표현이다. 한데 이게 정확한 구분인지 불분명하다.

둘은 같은 어종인데 제주에선 낚시로 잡아 은빛이 살아 있고, 목포에선 그물로 잡는 통에 몸통의 은분이 떨어져 나가

거무튀튀해졌다는 게 외려 더 설득력있어 뵌다.

수협 위판장 경매에 오른 갈치들도 거개는 추자도 등 제주 연안에서 잡아 온 녀석들이다. 갈치 맛은 몸 두께에 비례한다.

도톰한 몸에 칼집을 넣고, 소금을 송송 뿌려 노릇하게 구운 갈치 두 토막이면 밥 한 공기 뚝딱이다.

서서히 알이 들어차는 지금이 딱 제철이다.


낙지도 이맘때 알이 꽉 찬다. 낙지가 힘쓰는 데 좋다는 건 익히 알려졌다.

지친 소에게 낙지를 먹였더니 벌떡 일어섰다는 얘기가 여태 '전설'처럼 전한다.

그러니 남정네들이 종종 '절륜'을 꿈꾸며 입맛 다시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낙지는 지역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펄의 종류에 따라 낙지 몸 맛이나 조리법 등이 다르다는 얘기다. 목포에선 옥도 산을 최고로 친다.

보들보들한 옥도 개펄에서 난 낙지에 맛 들이면 다른 곳에서 나는 낙지는 '뻐셔서'(뻣뻣해서) 못 먹는단다.

목포 사람들은 대개 '탕탕이'로 먹는다. 도마 위에 얹은 낙지를 탕탕 소리 나게 '쪼사서'(다져서) 접시에 담은 뒤

참기름과 참깨를 듬뿍 넣고 달걀 노른자를 얹어 낸다.

생물이 부담스럽다면 연포탕이나 낙지 호롱 등으로 먹어도 맛있다.


목포에서 홍어를 빼놓을 수 없다. 일본의 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스웨덴의 청어절임(수르스트뢰밍)에 이어

세계 2위의 냄새 지독한 음식으로 꼽았을 만큼 강렬한 향이 일품이다.

홍어 역시 가을에서 이듬해 봄이 가장 맛있을 때다. 홍어삼합은 발효 음식의 총체다.

폭 삭힌 홍어에 묵은 김치와 삶은 돼지고기를 곁들이면 남도의 풍미가 완성된다.

문제는 홍어의 출신지다. 흑산도에서 잡힌 홍어는 그야말로 금값이다. 한 점에 5000원에 이르는 곳도 있다.

칠레산이 맛있다고는 하나, 그마저 아르헨티나산에 밀리는 추세다.

흑산 앞바다와 가까운 목포에선 그나마 흑산 홍어를 취급하는 맛집을 찾을 수 있다.

목포 종합수산시장 주변에 흑산 홍어 전문점이 많다.


민어의 거리도 따로 조성돼 있다. 그만큼 목포 사람들이 민어를 즐긴다는 뜻이다.

민어는 보통 여름을 제철로 치지만 겨울을 앞두고 몸에 기름기 자글자글할 때 맛보는 것도 좋다.

정종득 목포시장은 "상추에 민어 양념장을 찍어 두어 점 올리고, 풋고추를 곁들여 입이 찢어져라 먹어야 제맛"이라고 했다.

그래야 부드러운 육질과 고소한 맛이 입안 가득 들어찬다는 것. 껍질과 부레 씹는 맛도 각별하다.

보통 도시에서 온 이들은 '민어 부속'으로 평가절하하기 일쑤지만 맛을 아는 이들은 이를 최고로 친다.

목포식으로 '게미'가 있는 것도 이 부위다. 민어전도 맛있다. 정 시장은 이를 "전의 왕"이라 극찬했다.


꽃게는 봄, 가을을 제철로 친다. 봄엔 알 밴 암꽃게가 맛있고 가을엔 토실하게 살집 오른 수꽃게가 맛있다.

보통 찜이나 탕, 게장 등으로 먹는데, 목포에선 무쳐 먹는다. 이게 밥도둑이다.

들척지근한 양념에 꽃게의 살만 버무려 낸다.

양념 밴 게살을 따뜻한 밥에 쓱쓱 비벼 입에 넣기만 하면 나머지는 혀와 침이 제 스스로 알아서 돌려댄다.

전남도 지정 '별미 음식 1호' 자리를 꿰찬 것도 이 꽃게무침이다.

고춧가루가 주재료인 건 양념게장과 같지만 맛은 확연히 다르다. 비결은 양념이다.

태양초 고추에 마늘, 생강, 참기름, 참깨 등을 버무려 만든다.

게장과 달리 이가 약한 노인들도 마음 놓고 먹을 수 있을 만큼 부드럽다.


여기까지는 '필수'다. 이제 '선택' 차례다. 참조기도 요즘 제철이다.

신안 임자도 등을 거쳐 올라온 조기떼가 이맘때 목포 인근에 이른다. 조기는 산란 전이 맛있다.

알 낳은 뒤엔 살이 팍팍해진다. 노스탤지어를 자극하는 음식도 많다.

너나없이 어렵던 시절, 주린 배를 채워 줬던 것들이다.

콩물은 목포 사람들이 1년 내내 마시는 음식이다. 일종의 두유(豆乳)다. 유달콩물이 가장 널리 알려졌다.

오거리 초입에 있다. 팥죽도 내력이 꽤 길다. 목포가 개항하던 시절까지 거슬러 오른다.

예전엔 팥죽거리가 형성될 정도로 번창했는데, 요즘은 많이 줄었다.

차범석길과 수문로가 만나는 곳의 평화분식, 모범분식 등에서 맛볼 수 있다.

글 사진 목포 손원천 여행전문기자


■여행수첩

→가는 길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 안쪽 선창에 횟집 거리가 있다. 부근에 생선과 건어물을 파는 시장도 있다.

목포종합수산시장 245-5096.

비교적 최근에 조성된 목포대교 부근의 목포해양수산복합센터(277-9744)도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다.

백반거리도 둘러볼 만하다. 오거리에서 180m쯤 떨어져 있다.

→맛집(지역번호 061)

목포시는 지역 음식의 관광상품화를 위해 꽃게(옥정한정식·243-0012), 갈치(명인집·245-8808),

민어(영란횟집·244-00311), 낙지(독천식당·242-6528) 등 각 분야의 음식명인 14명을 지정해 뒀다.

흑산도풍경(242-1155)은 흑산 홍어를 취급한다. 하당에 있다.

조기와 준치 등은 선경준치횟집(242-5653)에서 맛볼 수 있다. 온금동 '양석' 아래 있다.

목포시 관광과 270-8430.

서울신문( ww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