Édouard Victor Antoine Lalo 1823∼1892
의 피아노트리오 1번 C 단조, Op.7
Piano Trio No.1 in C minor, Op.7
를 감상하겠습니다.
스페인 계통의 프랑스 직곡가 랄로는 바이올린, 비오라, 첼로에도 능했다.
북부 프랑스의 라일에서 태어난 랄로는 그 지방의 음악학교에서 공부하다가 1839년에 파리음악원에 입학하였다.
24세 때 로마 대상에서 2등을 차지하기도 했다.
그는 22세부터 작곡가로 나섰는데 1872년 2월에 무용 모음곡 <디베르티멘토>를 초연하면서 대중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874년에는 <바이오린 협주곡>F장조가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 사라사테에 의해 초연되었고
다음 해에 그의 대표작이 된 <스페인 교향곡>이 사라사테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로서 그는 일약 프랑스 일류의 작곡가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1877년에는 <교향적 알레그로>와 오페라 <이스의 왕>등 여러 유명한 작품을 계속 발표하였다. 그의 음악에는 깊은 맛이 부족할지 모르지만
매우 개성적이며 교묘하게 구사한 관현악법은 신선감을 준다. 자유로운 표현에 색채적이며 남국적인 정서를 지닌 작품을 많이 작곡하였다.
Piano Trio No.1 in C minor, Op.7
2. Romance - Andante
Barbican Piano Trio
Sophie Barber, Violin / Robert Max, Cello / James Kirby, Piano
3. Scherzo - Allegretto
Barbican Piano Trio
Sophie Barber, Violin / Robert Max, Cello / James Kirby, Piano
4. Final - Allegro
Barbican Piano Trio
Sophie Barber, Violin / Robert Max, Cello / James Kirby, Piano
Édouard Victor Antoine Lalo 1823∼1892
Barbican Piano Trio
Sophie Barber, Violin / Robert Max, Cello / James Kirby, Piano
Direction : Louis Fremaux
'활동과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마도의 역사적인 진실 (0) | 2018.09.01 |
---|---|
랄로 / 피아노트리오 1번 C 단조, Op.7 (0) | 2018.07.03 |
The Way We Were / Barbra Streisand (0) | 2018.07.02 |
비제//진주조개잡이 1막 나디르의 로망스 '귀에 남은 그대음성' (0) | 2018.06.30 |
스타브로스 크사르하코스 // '떠나버린 열차' (0) | 2018.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