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한림원에서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밥
딜런(75)의 이름이 불리는 순간객석은 웅성거렸다.
1990년대 이후 심심찮게 후보에 이름을 올리긴 했지만
예상치 못한 결과였다.
시집을
발표한 적도 있지만 본업은 가수인 딜런이
문학계의 세계적인 거장들과 어깨를 같이하는 순간이었다.
대중음악·대중예술의
영향력과 힘을 노벨상이 인정하고
경의를 표하는 순간이기도 했다.
노벨상위 “새로운 시적 표현
창조”
대중음악을 중요한 예술장르로 인정
오바마, 4년 전 훈장 주며 “나는
광팬”
64년 ‘시대는 변하고
있다’ 노래
잡스가 매킨토시 공개
때 인용
2008년엔 퓰리처상
특별상 받아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13일
"미국의 위대한 노래 전통 속에서 새로운 시적 표현을 창조해 냈다”고
밥 딜런 선정 이유를 밝혔다.
사라
다니우스 한림원 사무총장은 딜런의 노래를
“귀를 위한 시”라고 표현하며
“지난 5000년을 돌아보면 호머와 사포를 찾을 수 있다.
그들은
연주를 위한 시적 텍스트를 썼고, 밥 딜런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이로써
1960~70년대 반전음악을 통해 평화와 자유를 외쳐 온
‘노래하는 음유시인’ 밥 딜런은
노벨 문학상을 받은 최초의 대중음악인이 됨으로써
문화사의 새 지평을 열게
됐다.
밥 딜런은 41년 미국 미네소타에서 태어났다.
59년
미네소타대학에 입학해 문학을 전공했지만
1년도 지나지 않아 자퇴 했다.
뉴욕으로 이주해 그리니치빌리지의 카페에서 공연하기 시작했다.
62년 컬럼비아레코드를
통해 앨범 ‘밥 딜런’으로 데뷔했다.
이듬해 두 번째 앨범
‘더 프리휠링 밥 딜런(The Freewheelin’ Bob
Dylan)’을 발표했고
반전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수록곡 ‘바람만이 아는 대답(Blowin’ in the Wind)’은
혼란스러운
60년대 미국 사회를 관통하는 질문을 던졌다.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마틴 루서 킹이 암살당하고,
베트남전쟁이 발발하고, 히피문화가 밀어닥치던 때였다.
딜런은 당시 연인이었던 포크 가수 존 바에즈와 전미 투어
콘서트를 하며
청춘의 저항정신에 불을 지폈다.
하지만 딜런은 저항가수로서 자신의 고정된 이미지에 자주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딜런의 노랫말은 지금껏 수많은 자리에서 경구처럼 인용되며
살아 숨쉰다.
스티브 잡스가 84년 매킨토시 컴퓨터를
최초로 공개할 때 소개말이 되기도 했다.
내용은 이렇다. ‘
- 펜으로 예언하는 작가와 비평가들이여,
눈을 크게 뜨고 지켜보라.
기회는 다시 오지 않으니. 성급히 단언하지 마라,
바퀴는 여전히 돌고 있으니. 아직 이름을
붙이지 마라.
지금의 패자가 훗날 승자가 되고, 시대는 변하고
있으니 -
(64년 발표한 ·The Times They Are a-Changin’·시대는 변하고
있다).
2012년에는 미국 최고의 영예인 ‘자유훈장’을 받았다.
[AP=뉴시스]
명곡도 숱하게 많다.
‘원 모어 컵 오브
커피(One more cup of a coffee)’
‘노킹 온 헤븐스 도어(Knockin’ on Heaven’s
Door)
’ ‘라이크 어 롤링 스톤(Like a Rolling Stone)’ 등의 곡으로
국내에도 잘 알려져 있다.
99년 타임지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밥 딜런을 선정하기도
했다.
딜런은 2004년
자서전 『크로니클스』(Chronicles·한국 번역본 『바람만이
아는 대답』)를 펴냈다.
이 책은 2004년 미국 뉴욕타임스가 뽑은 올해 최고의 책으로 선정됐다.
그는 2008년 ‘특별한 시적 힘을 가진 작사로 팝 음악과 미국 문화에
깊은 영향을
끼친’ 공로로 퓰리처상 특별상을 받기도 했다.
그는 2012년 ‘대통령 자유훈장’을 받았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딜런은 미국
음악사의 거인이자 나 역시 그의 광팬”이라며 “
대학 시절 이 나라를 위해 영감을 주는 그의 노래를 들으며
내 세계관이 열렸다”고
말했다.
딜런은 한국의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음악은 청바지·통기타와 함께 70년대 ‘저항적 청춘문화’의 상징이었다.
대학가 시위현장에서는 ‘블로잉 인 더 윈드’에 한국어 가사를 붙인 노래가
‘운동가요’로 널리 불리기도 했다.
김광석의 ‘두 바퀴로 가는 자동차’도 밥 딜런 원곡이다.
그는 2010년 69세의
나이로 첫 내한공연을 했다.
평론가 송기철씨는
“팝음악에서 멜로디의 연금술사가 비틀스라면
밥 딜런은 가사의
연금술사로 통한다.
미국의 대학에서는 밥 딜런의 작품을 문학으로
공부하는 곳이 많을
만큼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 박준흠 음악평론가는
“대중음악이 중요한 예술장르이자 산업임을
이번 노벨 문학상이
공식적으로 얘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화 기자
onhwa@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60년대 미국의 반전 아이콘…한국선 대학가
운동가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