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품격'
공포가 덮친 도시는 을씨년스럽고 음울하다. 카뮈의 '페스트'에 등장하는 북아프리카 항구 오랑은 죽은 쥐가 나타나면서
아비규환으로
변해간다. 나를 해칠 바이러스를 품고 있을 상대에 대한 불신, 나만은 살아야 한다는 절규가 증폭되면서 도시는 지옥이 된다.
'코로나 발원지' 중국 우한이 그러했다. 대구시 홈페이지에 코로나 확진자 수를 알리는 그래프도 숨가쁠 정도로 가팔랐다. 바리케이드
쳐진 삭막한 유령도시가
연상됐을 정도다.
그런 상상을 하며 대구에 갔을 미국 ABC방송 기자 눈에 비친 대구 풍경은 전혀 달랐던 모양이다. 그는
"이곳에는 공황도, 폭동도, 혐오도 없다. 절제와 고요함만 있다"는 말로 칼럼을 시작했다. 그러고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는 것이 뉴노멀이 된
지금, 대구는 많은 이에게
삶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마무리했다. 대구 현장에서 취재 중인 동료에게 전화해보니 외신 기자의 묘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했다.
시장도 교통도 병원도 조용하고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했다. 잔뜩 겁에 질려 서울에서 내려온 한 공무원은 며칠 지나 말했다고
한다. "도시가 마치 동면하듯 조용히 숨쉬고 있다."
대탈출도 없었다. 대구에 있는 부모에게 타지에 있는 자식이 "당장
빠져나오시라"고 해도 요지부동이다. "뭐 하려고 자식까지 고생시키냐" "민폐 끼치기 싫다"고 한다. 한때 정권은 '대구 봉쇄'를 검토했는지
모르지만 대구 시민은 스스로 출입을 자제하고 있었다. 대신 출향 인사들이 대구로 달려왔다. 특히 방역에 보탬을 줄 수 있는 이곳 출신들이
적극적이었다. 외지에서 들어온 의료인이 500명도 넘는다.
사재기도 없었다. 비슷한 우려를 담은 보도가 나오면 시민들은 "평소와
똑같다. 왜곡하지 말라"며 불쾌해한다. 일주일째 마스크 사러
늘어선 긴 행렬 속에서도 큰 목소리 한번 들리지 않는다. 고생하는 의료진에게는 병원마다 도시락, 빵, 과일 같은 위로 물품이 쌓인다.
어떤 모텔은 건물 한 동을 비워 외지 의료인에게 내놓았다.
자영업자를 돕기
위해 임대료를 내려 받거나 유예하는 '착한 건물주 운동'도 확산되고 있다. 경증 환자는 '나는 그나마 낫다'며
자발적으로 병실을 양보한다. 서로 이기심을 내려놓는다. '사람의 인격'이란 오히려 위기에서 드러나듯 '도시의 품격' 또한 극한 상황에서
확인된다. 카뮈는 재앙에 맞서는 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특권이라고 했다. 현실에서 그것을 체감할 수 있는 곳이 지금 대구다.
품격 있게 바이러스와 싸우는 대구는 결국 승리할
것이다.
2020.03.06 이동훈 논설위원
'세상과 만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비 (0) | 2020.03.10 |
---|---|
독수리요새(Where Eagles Dare)☞ 서양영화 (0) | 2020.03.09 |
Parlez-Moi D'amour - Juliette Greco (0) | 2020.03.08 |
추억의 명동거리 (0) | 2020.03.08 |
[박정훈 칼럼] '과학'이 또 무릎 꿇었다, 괴물 같은 '정치' 앞에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