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과 방황

"100을 할 수 있으면 90에서 멈추세요"

여풍2 2018. 3. 16. 08:33

'99세 철학자'의 건강한 노년..

"100을 할 수 있으면 90에서 멈추세요"

      


이순녀 논설위원이 만났습니다 -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서울신문]


한국은 전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다.

앞으로 7~8년 뒤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국가와 사회 차원의 대책 못지않게 개인도 스스로 준비해야 하는 시대다.

한국 1세대 철학자이자 명수필가인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올해 백수(白壽·99세)를 맞았다.

100세가 코앞인 요즘도 일주일에 두어 번 강연을 하고, 신문사 두 곳에 칼럼을 연재하는 등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지팡이도 아직은 필요 없고, 보청기의 도움도 받지 않는다.

아무리 100세 시대라지만 신체와 정신의 건강을 유지하면서 일도 계속할 수 있는 축복을 누리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건강한 노년의 삶을 영위하는 비결이 궁금했다.

최근 출간한 산문집 '남아있는 시간을 위하여’를 핑계로 인터뷰를 청했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정년퇴직하고도 30년 넘게 가르치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 지난해까지 일주일에
세 번 강연을 하다 올 들어 두 번으로 줄였다는 그는 “삶의 에너지가 나를 건강하게 만드는 것 같다”며 웃었다. 올가을과 내년 초에 신간도 잇따라 출간할 예정이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하루 일과가 어떻게 되시나요.


“아침 6시쯤 일어나서 신문 읽고, TV뉴스 보다가 집 뒤 야산으로 산책을 갑니다. 한 50분쯤 걸으면서 원고나

강연 내용을 구상해요. 동네 주민들이 내가 걷는 산책로를 ‘철학자의 길’이라고 부른다더군요(웃음). 점심 먹고

오후에는 책을 읽고, 원고를 씁니다. 저녁에는 강연을 하거나 강연이 없는 날엔 책을 읽어요.

그리고 밤 11시쯤 잠자리에 듭니다. 일주일에 두 번 수영도 하고요. 30여년 전 정년퇴직하기 전이나 똑같아요.”

1920년 평안남도 대동에서 태어나 일본 조치대 철학과를 졸업한 김 교수는 1947년 월남해 서울 중앙고 교사를 거쳐

1954년부터 1985년까지 연세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2남4녀 자식들을 출가시키고 노모, 병석에 누운 아내와

셋이 살다 여인을 차례로 떠나보내고 나선 17년째 연희동 집에서 혼자 지내고 있다.


●“가장 행복했던 때는 70대 중반이었죠”


-남다른 건강 비결이라도 있으신가요


“신체적인 건강은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하지만 평소에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하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적당한 운동과 일이 있어야 해요. 50대까지는 바빠서 운동을 못 하다가 50대 후반에서야 가벼운 운동 하나

해야겠다 싶어서 시작한 게 수영이에요. 아무리 피곤해도 수영을 하고 나면 다 풀려요. 그래도 무리는 안 합니다.

좀더 하고 싶을 때 그만두는 게 철칙이죠. 일을 사랑하고 즐기는 것도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은 건강을 위해서 하고, 건강은 일을 잘하기 위해서 필요한 거예요. 일도 무리해서 하지는 않아요.

100을 할 수 있으면 90 정도에서 멈춥니다. 항상 여유를 두는 게 내 생활의 특징이라고 할까요.”

어릴 적 그는 유난히 몸이 약했다. 모친은 “우리 장손이 스무 살까지만 사는 것을 봤으면 좋겠다”며 노심초사했다.

건강에 자신이 없다 보니 과로나 무리를 하지 않았다. 매사 절제하고 조심하는 게 습관이 됐다.

그렇게 한 해, 두 해, 십 년, 이십 년을 살다 보니 어느덧 100세에 이르렀다고 했다.


-이번 산문집 제목이 ‘남아있는 시간을 위하여’입니다. 어떤 의미인가요.


“90이 넘으니 친구들과 주변 사람들, 심지어 후배와 제자들도 먼저 보내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제는 남은 게 세월이 아니고 시간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 시간 동안에 나는 무엇을 해야 하나 싶기도 하고요.

어머니와 아내가 떠났을 땐 외로움과 서글픔 속에서도

두 분에게 받은 사랑을 더 많은 사람에게 나누어야겠다는 마음으로 새 출발을 했어요.

50년 지기인 김태길 교수와 안병욱 교수, 두 친구가 옆에 있어서 힘이 됐죠.

그런데 두 친구마저 떠나고 나니 세상이 비어 버린 것 같아요.

그래도 아직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어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책에는 산문 25편이 실렸다. 표제작 ‘남아있는 시간을 위하여’는 새로 쓰고, 나머지는 지금까지 쓴 글 가운데 골랐다.

김 교수는 1960~70년대 김태길(1920~2009) 서울대 교수, 안병욱(1920~2013) 숭실대 교수와 함께 ‘철학자 겸 수필가’

트로이카로 불렸다. 첫 수필집 ‘고독이라는 병’과 ‘영원과 사랑의 대화’는 당대 젊은이들의 필독서로 통했다.

재작년 출간한 ‘백년을 살아보니’는 13만부가 팔렸다.


-인생에서 어느 시기가 가장 좋으셨나요.


“가장 행복했던 때는 70대 중반이에요. 내가 나를 믿어 줄 수 있는 성숙한 시기였죠. 김태길, 안병욱 교수와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좋은 시절이 언제인지 얘기한 적이 있는데 60세에서 75세 사이라는 데 의견 일치를 봤어요. 사람은 누구나 노력하면 75세까지 성장할 수 있습니다. 성장하는 동안은 늙지 않아요. 우리 사회는 일찍 성장을 포기하고, 빨리 늙어 버립니다. 우리 셋은 90이 다 돼서도 늙었다는 얘기를 안 했어요.”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항상 여유 두는 게 내 생활의 특징”


-어떻게 하면 덜 늙을 수 있나요.


“감정이 풍부해야 합니다. 안 교수는 공부, 여행, 연애 3가지를 하면 늙지 않는다고 했는데 마찬가지예요.

예술가들이 상대적으로 젊게 사는 이유도 정서적으로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젊을 때 문학작품을 많이 읽으세요.

음악을 듣거나 그림을 보는 것도 좋습니다. 예술적 정서를 모르는 사람은 어딘가 비어 있어요.

잘 쓴 글이라도 정서적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않으면 읽고 싶은 마음이 안 생깁니다.”


-행복의 정의나 기준은 무엇인가요.


“행복은 스스로 찾아가는 것이지 누가 가르쳐 줄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백 사람이 백 가지 행복을 얘기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나는 행복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해야죠.

개인적으론 일이 즐겁고, 항상 여유를 갖고 사는 게 행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버스 기사에게도 먼저 인사합니다”


-노년의 지혜라고 할까요, 인생 선배로서 팁을 주신다면요.


“나이 들어서 가까운 사람들이 멀리하면 큰일입니다.

그렇게 안 되려면 뭐든 주변 사람보다 나은 점을 보여 줘야 합니다. 나는 가족들과 외식할 때

식당 종업원에게 꼭 고맙다고 인사를 해요. 손자들이 그걸 보고 놀랍니다. 버스 기사에게도 먼저 인사를 건네요.

젊은이들이 버릇없다고 불평하는데 우리가 모범을 보여 주지 못한 잘못도 큽니다.

사회생활 여러 분야에서 좀더 나이 든 사람들이 후배들에게 보여 주어야 할 모범은 얼마든지 있고,

그것이 바로 우리 자신을 위한 책임이기도 합니다.”


-요즘 젊은이들은 취업, 결혼, 출산 등 많은 것을 포기하고 살고 있습니다. 어떤 조언을 해 주고 싶으신가요.


“우리가 병을 만들고, 우리가 앓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정치가 풀 수 있는 부분은 적극 해결하고, 개인도 내 인생을 어떻게 살지 충분히 고민해야 합니다.”


-이루고 싶은 소원이 있으신가요.


“6년 전쯤인가 자다가 문득 깨서 이런 메모를 남겼어요.

‘나에게는 두 개의 (길잡이) 별이 있었다. 하나는 진리에 대한 그리움, 다른 하나는 겨레에 대한 사랑이었다.

그 짐은 무거웠지만 사랑이 있었기 때문에 행복했다.’ 나를 위해서 사는 건 남는 게 없어요.

돈, 명예 다 남지 않지만 민족과 국가를 걱정하는 마음은 남습니다. 더불어 살아야 행복합니다.

이웃과 나라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지 아직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1시간 40분 동안 쉼 없이 얘기를 하고서도 김 교수의 얼굴에는 지친 기색이 없었다.

인터뷰 내내 잔잔한 미소와 유머를 잃지 않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오래 사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사는가가 중요하다는 당연한 진리를 김 교수는 몸소 실천하고 있었다.

모범이 되는 원로의 존재가 많아질수록 고령사회는 재앙이 아닌 축복에 더 가까워지리라.

coral@seoul.co.kr


■김형석 교수는

▲1920년 평안남도 대동 출생 ▲1943년 일본 조치대 철학과 졸업 ▲1947년 월남 ▲1947~54년 서울 중앙중·고 교사 ▲1954~85년 연세대 철학과 교수 ▲1990년 제1대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회장 ▲2011년 한림대 일송기념사업회 일송상▲2016년 제12회 유일한상 ▲주요 저서: ‘고독이라는 병’ ‘영원과 사랑의 대화’ ‘현대인의 철학’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백년을 살아보니’


'사색과 방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 어디로 가는가  (0) 2018.03.26
염일방일 (拈一放一)   (0) 2018.03.19
人生旅行 必須品 4가지 / I LIKE CHOPIN - GAZEBO   (0) 2018.02.27
안부전화  (0) 2018.02.26
희망 대체의 법칙  (0) 2018.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