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과 취미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 수화(樹話) 김환기 작품들..

여풍2 2020. 3. 25. 13:11
수화(樹話) 김환기 수화 김환기가 세상을 떠나기 1년 전 1973년에 그린 대작 "10만개의 점"

수화 김환기님의 작품들은 따뜻함을 느낄 수 있고 고국에 대한 그리움으로 산, 달, 매화, 달항아리, 여인등이 소재가 된다. 그림은 보는 이의 시선에서 나름 감상하면 되는데 그의 작품들 중
무수한 점으로 전체화면을 가득채운 작품들이 여럿.. 무엇을 말하고자 함인지.
그 해답을 둘째 따님의 얘기에서 풀어낼 수 있었다. 김금자 씨는 "아버지 그림을 보며 깜짝 놀랄 정도로 가슴이 뛰었다"고. "남들이 보면 희열에 차서 점을 찍는다고 말하겠지만 딸 관점에서 보면 점을 찍으면서 병을 얻으신 것 아닌가 생각돼요. 하루 16시간 점을 찍다 보니 목에 디스크도 오고…" "뉴욕에 계실 때 편지를 보내셨는데, 낮에는 태양볕이 아까워서, 밤에는 전깃불이 아까워서 그리고 또 그렸다는 내용이 있었지요." 그리움, 10만개 점만큼의 인연... 전남 신안 부호의 아들로 태어나 화가가 되기로 한 이후
늘 생활고에 시달리고뉴욕에 와서는 디스크로 고생하면서도
의료보험료를 낼 돈이 없어 병원에 갈 생각도 못 했다는데.
작품이 132억원에 팔리고 한국 최고가 작품 리스트 1위부터
8위를 석권한 그가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고 한다..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김환기, 캔버스에 유채, 236cm×172cm, 1970

저녁에 ...김광섭
저렇게 많은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밤이 깊을 수록 별은 밝음 속에서 사라지고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 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수화(樹話) 김환기(1913~1974)는
이 시를 이국땅에서 읽자마자 붓을 집어 들었다. 마지막 구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에 매료됐기 때문. 2m가 넘는 커다란 캔버스에 점을 찍기 시작했다. 2미터가 넘는 캔버스에 점을 하나하나 찍으며
작가가 얼마나 많은 생각과 고민을 했을지 느껴진다. 혼신의 힘을 다하여 1970년 완성한 이 그림을 수화는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에 출품하고는 대상을 받았다. 수화는 당시 지구 반대편인 미국 뉴욕에서 하루 16시간, 온종일 작업에만 매달렸다고 한다.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1970)는
고국에 대한 그리운 감정이 녹아있다. 김환기는 자신의 일기에 이렇게 썼다. "서울을 생각하며 오만가지 생각하며 찍어가는 점... 내가 그리는 선, 하늘 끝에 더 갔을까. 내가 찍은 점, 저 총총히 빛나는 별만큼이나 했을까..." 그에게 점 하나를 찍는 것은 깊은 사유와 수행의 결과이다..


전남 신안군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난 멋쟁이로
장신에 악기를 잘 다뤘으며 글까지 잘 썼다.
그는 생전 "글을 쓰다가 막히면
옆에 놓아둔 크고 잘생긴 백자 항아리 궁둥이를
어루만지면 글이 저절로 풀린다"고.
6ㆍ25전쟁 당시 해군 종군화가로 활약했다.

그의 일생에 따라 작품세계도
동경시대, 파리시대, 뉴욕시대 등으로 나뉜다.
 
동경시대의 대표 작품


'론도' 김환기, 캔버스에 유채, 61x72cm, 1938

부산 피난 시절의 대표 작품
 

'피난열차' 김환기, 캔버스에 유채, 37 x 53cm, 1951


파리시대의 대표 작품


 '여인과 매화와 항아리' 김환기, 캔버스에 유채, 61 X 41 cm, 1956


뉴욕시대의 대표 작품
 

'봄의 소리' 김환기, 캔버스에 유채, 178 x 128cm, 1966


Louis Hector Berlioz 꿈과 카프리스 Op.8

Itzhak Perlman, violin-
Daniel Barenboim, Orchestre de P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