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홈런 대신 스몰볼 작전 주효" "평양 또 속임수 우려"
27일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바라보는 미국 워싱턴의 한반도 전문가들의 반응은 이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판문점 선언에 이어
“북부 핵실험장 폐쇄를 5월 중으로 하고 이를 한·미 전문가와 언론인들을 북한으로 초청해 국제사회에 공개하겠다”
“미국과 신뢰가 쌓이고 종전과 불가침을 약속하면 왜 우리가 핵을 가지고 어렵게 살겠느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남북 정상회담 발언이 공개됐지만 미국 내에선 “남북, 나아가 미국과의 향후 관계에 매우 좋은 징조”(암스트롱 교수),
“북한이 과거에 반복적으로 속여온 것 그 이상이 아니다”(카자니스 소장)와 같이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다만 분명한 것은
“이렇게 멀리 와 본 적이 없다. (북·미 회담이) 큰 성공을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기대
보다는 냉정한 평가가 많았다는 것이다.
◆잘된 점=자누지 대표는 남북이 ‘스몰 볼’(작전으로 점수를 내는 야구의 공격 전술) 접근을 한 것이
주효했다고 평가했다. 홈런 한 방(‘완전한 비핵화’ 로드맵까지 명기)을 노리기보다 현실적이고 당장 가능한 목표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자누지 대표는 “서해와 비무장지대(DMZ)의 긴장을 줄이고 인적 교류를 확대하며 가을에
재차 남북 정상회담을 열기로 약속한 것은 신뢰를 쌓기 위한 단계적이고 상호주의적 절차를 명확히 한 것”이라며
“그건 매우 현명한(smart)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인권 문제 분명히 짚었어야
암스트롱 교수는 “이번 합의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늘 그랬듯이 합의들이 실제 이행될지,
나아가 남북관계가 개선될지 여부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북한이 좀 더 분명하게 핵무기를 이른 시일 내에 포기할 것이란 점을 밝혔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자니아 소장은
“남북 정상회담이 ‘게임체인저(Game Changer·판도를 뒤바꿔 놓을 중대한 역할)’일 것처럼 보였지만
솔직히 든 염려는 ‘우리가 또다시 속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접근 … 한·미 동맹 약화 우려도
그는 또 “북한과 남한은 긴장완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선언이 (한반도) 위기를 피하는 조치이면서,
대북 군사옵션을 고려하길 원하는 ‘미국 매파’의 손을 묶을 수 있는 것으로 본다”며
“그런 관점에서 (향후) 미국이 북한에 군사행동을 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이면 그건 한반도에서의
‘동맹 이탈(decoupling)’ 현상을 초래할 수(may create) 있다”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이 잘 끝나면 모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남북 대 미국’의 상황이 올 수도 있음을 우려한 것이다.
라이트 국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미 회담에 임하는 전략을 재조정할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번 회담으로) 워싱턴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중단과 최종적인 제거에 합의하기 위한 세부 사항,
검증 방법 등을 조율하는 것은 어렵고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임을 알게 됐을 것”이라며
“비핵화를 위한 짧은 시한에 맞추려다 여러 이익(각 단계에서의 미국과 지역안보 향상, 신뢰 구축)을 버리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최종 목표(비핵화)를 바라보면서 각 단계에서의
성공들을 어떻게 발판 삼아 목표에 이를 것인지 알아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세상과 만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사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0) | 2018.05.02 |
---|---|
꿈.. 허공.. (0) | 2018.04.30 |
의료 4차 산업혁명 (0) | 2018.04.29 |
빈말 (0) | 2018.04.29 |
걱정되는 아침(근심) (0) | 2018.04.29 |